가장 많이 본 글

Thursday, August 21, 2025

한국 원전(K-원전)의 미래를 팔아먹은 윤석열

 K-원전의 미래에 대해 윤석열은 무슨 짓을 저질렀나?

윤석열은 그간 문재인 정부가 한국의 원전 생태계를 망쳐놓았다며 엄청나게 욕을 해댔다. 그러면서 미국부터 시작해서 전 세계 원전 건설 수요에 한국 원전기술이 대응할 수 있다고 거짓말을 해댔다. 

실상은 이미 훨씬 전부터 한국의 원전기술은 미국에 종속되어 있었다. 만일 그렇지 않고 기술적인 자립에 성공했다면,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의 원천기술에 맥을 못추는 지금의 상황은 빚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원천기술만이 아니라, 후속 특허와 패밀리 특허를 포함해 5만 건이 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에 대한 간단한 특허분석만 해봐도, 한국은 원천기술이 아니 주변기술이나 구동기술에 한정된 기술개발과 부수적인 특허들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미 기술부족, 특허부족 등 우리의 뒤처진 기술력에 대한 경고성 조사분석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 

심지어 차세대 원자로와 관련해서도, 중국의 1/4도 안 되는 수의 특허를 가지고 세계 진출을 어떻게 한다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다. 



차라리 체코와의 원전 수주 계약을 이토록 온 세계 방방곡곡에 떠들어 대지만 않았어도, 웨스팅하우스가 한국이 체코에 구현하려는 원전기술들을 그토록 상세하게 들여다보지는 않았을 지도 모른다. 


한국 원전의 수출길을 완벽하게 틀어 막아버린 윤석열

물론 그런 요량을 바라고 어줍잖게 원전수출을 도모하는 것도 결국은 불가능한 일로 귀결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런데 보다 중요한 사실은 윤석열이 한국 원전의 수출길을 완벽하게 틀어막아버렸다는 사실이다. 

한국의 원전을 살리고 수출길을 열겠다고 도리도리질을 해가면 부처에서, 한전과 한수원에서 작성해 준 각종 발표문을 읽어댔다. 자신의 말과 행동이 무슨 의미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윤석열에게는 오직 건희랑 체코에 놀러가야 한다는 생각밖에 없었다. 

그리고, 무조건 웨스팅하우스가 요구하는 대로 모든 조건을 다 들어주더라도 계약을 체결할 것을 종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전 글에서 언급한 조건들로 인해 우리나라는 체코에 원전을 지어도 결국 남는 건 없이 혈세로 형성된 국부를 유출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렸다. 



UAE는 이미 적자, 이집트는 이번 약정으로 철수 확정!!

하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 쓰라고 있는 단어가 있다. '철통'. 한국의 원전수출은 이제 윤석열에 의해 철통같이 막혀 버렸다. K-원전 자체를 붕괴시킨 것이다. 

한수원·한전은 웨스팅하우스가 제기한 지식재산권(IP) 분쟁을 합의로 마무리하기 위해 지난 1월 50년간 유효한 협정서를 체결했다. 협정서에는 원전 수출 1기당 8억2500만달러(약 1조1400억원)를 물품·용역 구매, 기술 사용료 명목으로 지급하고 한국 기업이 SMR 등 독자 노형을 개발해도 웨스팅하우스가 기술 자립을 확인해주지 않으면 제3국에 수출하지 못한다는 조항도 담긴 사실이 최근 며칠 사이에 알려졌다.


한국 원전을 위한 나라는 없다. 지구 그 어디에도...

합의문에는 한수원·한전이 원전 수주 활동을 할 수 없는 국가 명단까지 첨부된 것으로 전해졌다. 

동남아시아(필리핀·베트남),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 북아프리카(모로코·이집트), 남미(브라질·아르헨티나), 요르단, 튀르키예,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신규 원전 수주 활동을 할 수 없도록 명시했다. 

나아가 북미(미국·캐나다·멕시코), 체코를 제외한 유럽연합(EU) 가입국, 영국, 일본, 우크라이나 등은 웨스팅하우스만 진출할 수 있다적시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심지어, 한수원은 유망 수출지역이던 폴란드에서도 사업 철수를 공식 인정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놈)은 국회에서 폴란드 사업 철수 계획을 묻는 질의에 “일단 철수한 상태”라고 답했다. 

웨스팅하우스는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에디슨에 대한 경쟁기업으로 설립한 전기 회사다. 에디슨이 설립한 멘로파크 연구소의 유럽 지부에 채용된 '테슬라'를 데려다가 에디슨과의 직류와 교류 전쟁(Current War)를 촉발시킨 인물이다. 에디슨을 파렴치한 인물로 만드는 데에 테슬라의 과학자 이미지가 철저히 이용되었지만, 현재 웨스팅하우스는 한국의 미래를 빼앗은 기업이 되어버렸다. 

2025년 1월 웨스팅하우스와 IP 분쟁 타결 이후 스웨덴, 슬로베니아, 네덜란드에 이어 폴란드에서도 사업을 접기로 했다. 한수원이 유럽 등 주요 시장을 줄줄이 포기하는 계약을 맺어 놓고도 원전이 살 길이라고 외쳤던 것이다. 

그래도 일말의 희망을 찾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아래의 지도와 함께 원전 수출 가능성이 있는 나라가 과연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원전 수출에 대한 희망 불씨를 살려보기 바란다. 단, 러시아나 중국의 세력권에 있는 지역과 나라 정도는 알고 있겠지? 

현실적인 데이터들을 두고도, 원전에 대한 그 어떤 전문성도, 그 어떤 의식도 없는 윤석열과 황주호를 믿는다면, 이건 과학과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단지 집단 사이비 종교에 열을 올리는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원전수출을 아직까지도 주장하고 믿는 자들은 자신이 윤석열에게 철저히 속고 유린당한 사실을 인식조차 못하든지, 절대 믿고 싶지 않은 것일 뿐이다. 현실은 한국 원전은 이제 없다는 것이다. 한국 원전에 조종을 울린 윤석열도 그 행렬에 함께 하게 될 것이다. 



Wednesday, August 20, 2025

동해바다의 흔한 해돋이~*

 



동해바다는 이제 한 여름의 정점에서 가을로 가는 길목에 있다. 8월이지만, 입추는 지났고, 가장 덥다고 하는 절기인 말복도 지났다. 여전히 여름은 한낮의 열기와 습기를 가득 머금고 있지만, 하늘은 점점 높푸른 빛을 띠어가고 있다. 




동해바다에 위치한 해수욕장들은 이제 곧 폐장을 하겠지만, 동해에 떠오르는 태양은 어제나 오늘이나 그리고 내일도 쉬지 않는다. 


해수욕장의 하늘을 붉은 기운으로 채색하며 태양이 떠오른다. 




사진을 찍은 곳은 양양군에 위치한 낙산사 바로 위에 있는 용호리의 용호해변이다. 동해의 바다는 온갖 해변과 해수욕장이 동해를 따라 끊임없이 펼쳐져 있다. 여름엔 계곡이나 바다를 찾는 한국사람들에게 동해는 다양한 분위기의 해변들을 펼쳐보여주고 있다. 

이탈리아나 일본과 같이 반도나 섬에 위치한 규모있는 나라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땅덩어리일지 몰라도, 해변만큼은 어느 나라보다 접근이 편하고 잘 조성되어 있다. 

물론, 우리나라의 해수욕장은 씻는 물에 대해서는 많이 인색한 게 사실이다. 화장실에는 관대한 나라가 왜 유럽의 나라들보다 해수욕 후에 샤워나 씻는 물에 더 인색한 건지는 모르겠다. 아무래도 물값 받아 여름 대목 장사를 하려는 상인들때문인 것 같다.  



동해에는 대표적으로 인구리에 위치한 인구해변과 여기 용호해변이 빨간 등대가 놓여 사진찍기 좋은 곳이다. 


인구해변은 태풍과 호우로 마을이 잠긴 경험도 있는 곳이기는 하지만, 지금은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여름 휴가지로 탈바꿈되었다. 


이곳은 다른 해변과 비교해서 가족여행객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보드를 타고 배우러 오는 젊은 이들과 여름의 낭만과 일탈을 찾아온 10~20대들이 많이 보이는 곳이다. 


그래서 외국인들도 많이 찾는다.


국제적으로 놀고 싶다면, 부산의 해운대도 좋지만, 물맑고 해변이 예쁜 동해바다, 그 중에서도 인구해변이나 용호해변을 찾는 것도 추천한다!

Monday, August 18, 2025

Korea’s Nuclear Sovereignty at Risk: i-SMR and the Westinghouse Trap


The controversy surrounding South Korea’s nuclear deal with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WEC) has taken a deeper turn. New revelations show that Korea’s flagship i-SMR (Innovative Small Modular Reactor) may also fall under the binding terms of this controversial agreement, effectively placing the nation’s most promising nuclear technology under foreign control.

i-SMR at Risk: Claimed as “Westinghouse Technology”

The i-SMR project, proudly developed as Korea’s next-generation nuclear export model, is essentially a scaled-down version of the APR1400 pressurized water reactor.

  • Since Westinghouse claims that the APR1400 itself is based on its original pressurized water reactor technology, it argues that the i-SMR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greement.

  • Korea’s government insists that i-SMR will apply distinct technologies—such as a new nuclear fuel arrangementand boron-free cooling water—to differentiate it from the APR1400.

  • Yet, experts warn that Westinghouse will almost certainly use these overlaps as leverage, pushing for an interpretation that benefits its commercial interests.

The agreement explicitly states: “In the case of SMRs, marketing is permitted, but no binding purchase proposals can be made to any country until Westinghouse confirms technological independence.”

An Unfair Verification Procedure

The verification process itself is structured to Westinghouse’s advantage:

  1. Korea may request confirmation of technology independence for a given reactor design.

  2. Westinghouse has 90 days to respond.

  3. If it fails to reply, a joint third-party institution is to be appointed within 60 days.

  4. However, this third-party body is restricted to U.S.-based institutions only.

This means Korea’s claims of independence will ultimately be judged under U.S. oversight, where Westinghouse’s influence is strongest. For many in the industry, it’s an unmistakable sign that the process is rigged to favor the American company.

The Czech Nuclear Deal: The Trigger Behind the Concession


Behind Korea’s humiliating concessions lies the high-stakes Czech Dukovany nuclear project.

  • In July 2023, KHNP beat out Westinghouse and France’s EDF, securing priority negotiation rights.

  • Westinghouse quickly countered, claiming that KHNP’s export reactor APR1000 contained its proprietary technology—making the export “illegal” without its approval.

  • Although Seoul initially dismissed the claim, the government abruptly reversed course within six months.

  • By January 2024, KHNP and Westinghouse announced a settlement, effectively ending the IP dispute by conceding key rights to the American company.

Politics Over Industry: The Cost of Rushed Diplomacy

Industry insiders argue that the agreement represents one of the most unbalanced contracts in nuclear history.

  • Sources familiar with the deal suggest that even within KEPCO and KHNP’s boards, there were voices of dissent.

  • However, the presidential office in Yongsan pushed for quick resolution, prioritizing political “success stories” abroad over long-term industry strategy.

  • As one insider put it: “Even when experts raised objections, the contract was pushed forward at lightning speed once pressure came from the top.”

This has fueled criticism that the deal was less about securing Korea’s energy future and more about delivering short-term diplomatic achievements for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Conclusion: Selling Off the Future of Korea’s SMR Industry

The i-SMR was meant to be Korea’s flagship for the $400 billion global SMR market by 2040. Instead, it now risks being shackled under Westinghouse’s “verification” stranglehold. With U.S.-biased procedures, Czech concessions, and political urgency overriding industrial strategy, the deal has left Korea’s nuclear sovereignty deeply compromised.

Rather than leading the world with independent innovation, Seoul’s rushed diplomacy may have inadvertently handed Westinghouse control over Korea’s most valuable nuclear asset of the future.

Hidden Costs Deepen: Why the Westinghouse Deal Further Weakens Korea’s Nuclear Futur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South Korea’s secretive nuclear agreement with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WEC)doesn’t end with one-sided revenue sharing. Newly revealed details show that localization promises, soaring technology usage fees, and restrictions on SMR (Small Modular Reactor) exports make the deal even more damaging to Korea’s long-term nuclear competitiveness.

Localization Promises Cut Korea’s Share Even Further

In almost every nuclear construction contract, local participation quotas are guaranteed to the host nation. For the Czech Dukovany project, the so-called “Team Korea” reportedly promised Prague a 60% localization rate.

This means:

  • Out of the ₩24 trillion ($18B) construction budget for two reactors, about ₩14 trillion ($10.5B) will go to Czech companies.

  • Around ₩2 trillion ($1.5B) is guaranteed to Westinghouse.

  • Leaving Korean companies with a far smaller slice than initially projected.

In essence, even though Seoul secured the project diplomatically, domestic firms will see limited economic returns once localization and Westinghouse’s guaranteed share are factored in.

Rising Technology Fees: A Step Backward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lauses is the $175 million per reactor technology fee. Unlike earlier agreements, this is not a one-time payment but a recurring charge every time Korea exports a nuclear plant.

For comparison:

  • In 1997, KEPCO and KHNP signed a license agreement with ABB-CE (a Westinghouse predecessor), paying only $30 million over ten years for technology usage.

  • The new deal requires nearly six times that amount per reactor, adjusted automatically for inflation starting in 2025.

Unsurprisingly, Cameco, the Canadian firm holding a 49% stake in Westinghouse, has seen its stock price jump nearly 50% this year, buoyed by the long-term profit guarantee embedded in Korea’s concessions.

SMR Exports Restricted by Westinghouse “Verification”

The agreement’s reach extends into the next-generation nuclear sector. It stipulates that even Korean-developed SMRs must undergo Westinghouse verification before being exported.

This clause threatens to choke off Korea’s ambitions in the fast-growing SMR market, projected to reach $300–400 billion by 2040.

  • Unlike large reactors, SMRs (under 170 MW capacity) are modular, factory-built, and easily deployable.

  • They are seen a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for nations seeking cost-effective, scalable clean energy.

  • Korea has been developing its own i-SMR model, targeting overseas exports by 2030.

But with Westinghouse holding a gatekeeper role, Korean firms may find themselves blocked from independently competing in one of the most promising energy markets of the future.

Conclusion: A Deal That Locks in Dependence

What was once touted as a $24 trillion Czech nuclear victory may prove to be a hollow win. With localization promises reducing Korea’s share, inflation-tied fees enriching Westinghouse, and SMR exports handcuffed by verification clauses, the deal increasingly looks like a long-term concession of nuclear sovereignty rather than a triumph.

South Korea has positioned itself as a global leader in nuclear exports. Yet, by signing away so much to Westinghouse, it risks being remembered not for expanding its energy independence, but for selling off the future of its nuclear industry.

Ultimately Exposed: The Humiliating Nuclear Deal of Yoon Suk-yeol’s Government with Westinghouse

 South Korea’s ambitions to secure the Czech Dukovany nuclear power plant project have come at an unexpectedly steep price. It has now been revealed that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struck an unequal contract with U.S. nuclear giant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WEC), raising alarms over the erosion of Korea’s nuclear sovereignty and long-term competitiveness.

A 50-Year Unequal Contract That Undermines Sovereignty

According to documents obtained by the Seoul Economic Daily (“Compromise Agreement among KHNP, KEPCO, and WEC”), South Korea agreed to terms that critics call one-sided and humiliating. Under this deal:

  • For every reactor exported, Korea Hydro & Nuclear Power (KHNP) must grant Westinghouse $650 million in goods and services contracts (approx. 900 billion KRW).

  • An additional $175 million (approx. 240 billion KRW) must be paid to Westinghouse as a technology usage fee.

  • Even for next-generation nuclear technologies like SMRs (Small Modular Reactors) developed independently by Korea, exports cannot proceed without Westinghouse’s prior technical verification.

This arrangement effectively gives Westinghouse a veto power over Korea’s nuclear exports and secures them decades of guaranteed revenue.

Industry Backlash: “Killing the Goose That Lays Golden Eggs”

Experts in the nuclear sector describe the deal as “gutting Korea’s golden goose”. By guaranteeing Westinghouse 50 years of work in exchange for securing the Czech project, Korea is seen as giving away:

  •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nuclear market.

  • Sovereignty over core nuclear technologies.

  • Billions in revenue streams that would otherwise go to domestic companies.

The agreement also ensures that Westinghouse monopolizes fuel supply for reactors in Czechia and Saudi Arabia (100%) and controls 50% of supply in other regions, sidelining Korean suppliers like Doosan Enerbility and KEPCO Nuclear Fuel.

The Hidden Costs Behind Each Reactor

To put this in perspective, KAIST Professor Jung Yong-hoon noted:

“The construction cost of a nuclear plant is around 10 trillion KRW ($7.4B). If nearly 1 trillion KRW per unit is promised to a foreign company, this is a major loss.”

Another industry expert added:

“Most nuclear construction costs go to labor and building. Core systems represent only about one-third. Yet Korea has to share even that one-third with Westinghouse. This severely undermines our ability to secure core equipment competitiveness.”

Key systems such as the Nuclear Steam Supply System (NSS) and Man-Machine Interface Systems (MMIS)—traditionally the pride of Korea’s domestic nuclear industry—are now effectively reserved for Westinghouse contracts.

Why This Deal Matters

The $24 billion Czech Dukovany nuclear project was a strategic target for Korea. Winning it was hailed as a major victory for the Yoon administration. However, the hidden price tag—ceding half a century of nuclear technology autonomy—has sparked heated debate.

This agreement could:

  • Limit Korea’s independent SMR export potential.

  • Reduce its share in the global nuclear supply chain.

  • Entrench Westinghouse’s dominance in critical reactor technologies and nuclear fuel markets.

Conclusion: A Pyrrhic Victory

While the Yoon government secured the Czech contract, it may have done so at the cost of Korea’s long-term energy independence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50-year contract ensures Westinghouse not only profits from every Korean nuclear export but also exerts significant control over future technologies.

For South Korea, what looked like a diplomatic and industrial triumph could ultimately be remembered as a humiliating concession of nuclear sovereignty.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 소득상위 10%가 아니시라면..

 

세전 월 급여 320만원 받은 가족만으로 구성된 4인 가족은 극히 드물겠지만, 월 1280만원의 소득이 있는 가정은 2차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달리 말하면, 전 국민의 90% 정도는 2차 소비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다는 뜻!


지급기준은 재산세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2025년 9월 22일부터 1인당 10만원씩 추가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발급된다. 4인 가족 기준으로는 월 1280만원의 소득, 2인 가구를 기준으로 하면, 월소득 825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가 된다. 

더불어, 재산세 과세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12억원이 넘는 주택을 보유하였거나, 이자와 배당소득 등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이들에 대해서도 지급 제외로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소득 기준의 산정 방식

정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에서 제외되는 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는 506만707명을 경계선으로 하여, '기준 중위소득 210%'를 잠정적으로 결정한 상태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한다. 이는 각종 복지수당 지급의 기준이 되는 값이어서 민감하고 중요한 수치다.

이러한 중위소득 210%라는 기준을 적용하여 나온 것이 가구당 월소득 기준이다. 

1인 가구는 월소득 약 502만원,

2인 가구는 월소득 약 825만원,

3인 가구는 월소득 약 1055만원,

4인 가구는 월소득 약 1280만원...

으로 하여, 가구당 월소득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계산이 나온 것이다. 

"현재 건강보험 가입자와 전 국민의 주민등록정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진행중이다. ... 이 결과에 따라 지급기준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


기타 추가 고려 요소들



정부는 소득기준 외에도 재산세 과제표준을 합산하여 12억원을 초과하거나,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를 고액 자산가로 보고 지급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알렸다. 다만, 고령층과 취약계층이 많은 1인 가구와 자녀교육비 부담이 큰 맞벌이 등에는 특례기준을 적용하여 소비쿠폰을 더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융소득 2,000만원 배제는 다소 의아

다만,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원 정도 되려면, 배당율 내지 이자율이 5% 정도만 되더라도, 4억 정도의 금융자산이 있다는 의미이므로, 서울 시내 아파트 한 채와는 큰 차이가 있다. 금융소득만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이런 이들을 지급에서 배제하는 건 의아하다. 

금용소득 2,000만원이 기본 소득 외에도 있는 경우라면 모를까, 월소득 400만원씩을 버는 연봉 5000만원의 맞벌이 가정보다 금융소득 2000만원이 더 배제되어야 할 기준이 된다는 점은 썩 납득이 가지는 않는다. 



Friday, August 15, 2025

웹툰화, 웹투나이제이션(Webtoonization)이라는 용어가 뜬다!



디즈니와 웹툰 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 간의 대규모 계약의 일환으로, 기존에 출간된 스타워즈(Star Wars) 코믹스와 새로운 오리지널 스타워즈 코믹스가 인기 웹툰 플랫폼에 등장할 예정이다. 향후 수년에 걸쳐 마블(Marvel), 스타워즈, 디즈니, 20세기 스튜디오(20th Century Studios) 작품을 포함한 약 100여 개의 타이틀이 웹툰에서 공개된다. 이 작품들은 웹툰 영어 앱의 별도 영역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어떤 작품들이 웹툰화될까?


디즈니와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발표에 따르면, 첫 공개작은 이달 말 데뷔 예정인 마블의《어메이징 스파이더맨(Amazing Spider-Man, 2022)》이 될 예정이다. 이어서 《마블 어벤저스(Marvel’s Avengers, 2012)》, 《에일리언(Alien, 2021, 20세기 스튜디오)》, 그리고 디즈니의 《옛날 옛적처럼: 비틀린 이야기(As Old As Time: A Twisted Tale)》가 뒤를 잇는다. 

《비틀린 이야기》는 낯선 작품이 아니라, 벨(Belle)과 야수를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 "미녀와 야수"의 디즈니 버전이다. 그리고, 제이슨 애런(Jason Aaron)의 《스타워즈(Star Wars, 2015)》는 먼 은하계에서 날아온 첫 대표작으로 선보인다.


웹툰은 이번 새로운 협업을 오는 20205년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뉴욕 코믹콘(New York Comic Con)에서 대대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지난 1년 동안 논의를 이어왔으며, 전통적인 만화 모델이 변하고 웹툰이 독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선호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현재 웹툰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5,500만 명의 월간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디즈니 소비자 제품 부문에서 디지털 혁신 총괄 수석부사장(SVP) 다니엘 핑크(Daniel Fink)는 이번 파트너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웹툰과의 협업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사랑받는 프랜차이즈 세계관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플랫폼에서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웹툰의 헌신적인 글로벌 사용자 기반과 소통하며, 미래의 팬들이 새로운 방식의 디즈니 스토리텔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환영할 것입니다. 이는 디지털 만화 분야에 오래도록 지속될 영향을 남길 것이라 확신합니다.”


현재까지 이 플랫폼에 어떤 오리지널 타이틀이 공개될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핑크(Fink)는 이들 작품이 “모두 전통적인 창작물”이라고 덧붙였다. 웹툰은 디즈니의 승인을 받아 웹코믹스를 제작할 예정이다. 작품은 “슈퍼히어로 서사극에서 은하계를 아우르는 모험”까지 다양할 것이다.

스타워즈 팬들에게 이번 협업은 두 브랜드 간의 첫 번째 협업이 아니다. 이미 2015년, 라인(LINE)은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The Force Awakens)》 개봉을 앞두고 웹툰 독자들에게 기존 삼부작 이야기를 소개하기 위해 원작 삼부작의 웹툰판을 발행한 바 있다. 이후 해당 시리즈는 아마도 라이선스 문제로 인해 웹툰 서비스에서 삭제되었지만, 라인은 이후에도 《스타워즈 반란군(Star Wars Rebels)》, 클라우디아 그레이(Claudia Gray)의 《로스트 스타즈(Lost Stars)》, 《알데라안의 공주 레이아(Leia, Princess of Alderaan)》 등 다양한 스타워즈 웹툰을 2021년까지 제작했다.



웹툰의 틀에 맞추기

앞으로 웹툰에서 새로운 시리즈를 접하게 될 때 예상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소가 있다. 가장 먼저 구조의 차이다. 웹툰은 모바일 친화적인 레이아웃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크롤 방식을 주로 채택한다. 전통적인 좌→우 패널 방식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연재 일정은 작품마다 달라 일부는 매주 여러 편의 새로운 챕터를 공개하기도 한다(수요일만이 아니다). 다만 이들 챕터는 전통적인 월간 단행본 코믹스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만화 읽기를 위한 ‘정주행(binge)’ 모델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웹툰은 100% 무료 서비스가 아니다. 대부분의 시리즈에서 상당히 큰 부분을 무료로 맛볼 수 있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는 계속 읽기 위해 인앱 코인을 구매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디즈니가 웹툰 모델을 통해 기존 타이틀을 어떻게 재출시하고 새로운 작품을 어떻게 홍보할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한국에서 흥행에 성공한 웹툰이라는 미디어틀이 화려하고 동적인 디즈니 애니메이션들을 어떻게 담아낼지 흥미로운 시간이 우리 앞에 다가오고 있다.



한국 원전(K-원전)의 미래를 팔아먹은 윤석열

   K-원전의 미래에 대해 윤석열은 무슨 짓을 저질렀나? 윤석열은 그간 문재인 정부가 한국의 원전 생태계를 망쳐놓았다며 엄청나게 욕을 해댔다. 그러면서 미국부터 시작해서 전 세계 원전 건설 수요에 한국 원전기술이 대응할 수 있다고 거짓말을 해댔다....